구글 애드센스 와이드2


Hordeum roshevitzii는 국내에 정말 자생하는 식물일까? 식물

흔히 재배하는 보리는 Hordeum vulgare이다. 이외에도 The Plant List(http://www.theplantlist.org/)에 보면 겉보리속(Hordeum)에 속하는 종이 정명(Accepted) 기준으로 46개가 나온다. 이 중에는 국내에 귀화식물로써 국명이 붙은 식물들이 있다. 보리풀(Hordeum murinum), 좀보리풀(Hordeum pusillum), 긴까락보리풀(Hordeum jubatum) 등이 그 예이다. 이것들을 보면 아예 국내에는 겉보리속(Hordeum)이 자생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갯보리(Elymus dahuricus)나 개보리(Elymus sibiricus) 등 개보리속 식물들의 일부는 국내에도 자생하고 있다. 이들은 겉보리속과 근연관계가 가까우며 개보리속이 가지는 유전체 중 H는 겉보리속에서 온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 외에도 Hordeum속의 일부 종들은 중국, 몽골 등에도 자생하고 있다.
그러던 중 Hordeum roshevitzii라는 식물에 관심이 간다. 몇년 전, 개보리속 유전체 공부하다가 처음 알게된 식물인데, 영문판 위키피디아(https://en.wikipedia.org/wiki/Hordeum)에 따르면, 한국에도 분포한다고 나와있다. 처음에는 영문판 위키피디아는 전문가들이 아닌 일반인들이 작업해서 정확하지 않은 정보라서 그런 것이 아닐까 싶었으나, 머지 않아서 USDA에서 만든 U.S. National Plant Germplasm System에도 그렇게 국내에도 자생한다고 서술되어 있었다. https://npgsweb.ars-grin.gov/gringlobal/taxonomydetail.aspx?id=102931 처음에는 그냥 둘 중 하나가 업데이트가 안 된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2~3년이 흘렀지만, 한국 산림청의 국가표준식물목록 혹은 미국 USDA의 U.S. National Plant Germplasm System 둘 다 바뀌지 않고 있다. 이런 정보화시대에서는 잘못된 것이 있다면 빨리 바로 잡아야 할텐데 말이다.
내가 직접 연구해보고 싶지만, 어찌 생겼는지도 모르고, 찾아다닐 수도 없었다. 무엇보다 찾아내도 박사학위도 없는 내 말을 누가 믿어줄까. 결국 산림청에 아래와 같이 민원을 넣었다.

제목 겉보리속(Hordeum)의 자생/귀화 식물의 분포여부
현황 및 문제점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겉보리속(Hordeum)을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식물들이 검색되어 나옵니다.

자생식물 이명 Hordeum avenaceum F.H.Wigg. ex P.Beauv. 2003/11/30
재배식물 정명 Hordeum vulgare var. nudum Spenn. 쌀보리 2003/11/30
재배식물 정명 Hordeum vulgare L. 보리 2003/11/30
귀화식물 정명 Hordeum pusillum Nutt. 좀보리풀 2003/11/30
귀화식물 정명 Hordeum murinum L. 보리풀 2014/07/01
귀화식물 정명 Hordeum jubatum L. 긴까락보리풀 2014/07/01

첫번째의 경우, Arrhenatherum elatius의 이명으로 나오며 나머지 정명들의 경우, 재배식물과 귀화식물들이라고 나옵니다.
재배식물인 보리(Hordeum vulgare)의 경우에는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습니다.
귀화식물로 알려진 좀보리풀, 보리풀, 긴까락보리풀의 경우, 미국 농무성 USDA에서 운영하는 U.S. National Plant Germplasm System (https://npgsweb.ars-grin.gov/gringlobal/search.aspx)에서 검색하면 각각
https://npgsweb.ars-grin.gov/gringlobal/taxonomydetail.aspx?id=19322
https://npgsweb.ars-grin.gov/gringlobal/taxonomydetail.aspx?id=19314
https://npgsweb.ars-grin.gov/gringlobal/taxonomydetail.aspx?id=19308
에서 정보가 나옵니다.
좀보리풀(H. pusillum)의 경우는 자생(Native)지역이 캐나다(Canada), 미국(USA), 멕시코(Mexico) 등 북미지역(North america)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보리풀(H. murinum)의 경우 아시아, 유럽 등에서 자생하며, 귀화(Naturalized)지역으로 여러 나라 중 일본(Japan)은 있지만 한국(Korea)는 빠져있습니다. 마찬가지 긴까락보리풀(H. jubatum)의 경우에도 귀화지역에 인근국가로는 러시아가 있지만, 한국은 빠져있습니다. 이는 미국 USDA에서 한국에 귀화한 것을 업데이트하지 못 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또 이상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Hordeum roshevitzii Bowden라는 식물입니다.
https://npgsweb.ars-grin.gov/gringlobal/taxonomydetail.aspx?id=102931
이 곳 데이터베이스 정보에서 보면 자생(Native)지역에 중국(China), 일본(Japan), 한국(Korea)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식물은 국내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해보아도 그 어디서도 국명 등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여기서 Korea가 한국이 아닌 북한지역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대체로 북한지역에서만 서식하는 식물들도 대체로 국내에 어느정도 정보(국명 등)는 있는 것으로 압니다. 이 H. roshevitzii는 아직 국명조차 존재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The Plant List에서 나오는 이명들(http://www.theplantlist.org/tpl1.1/record/kew-419493)을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검색해보아도 전혀 검색되지 않습니다.
미국 USDA에서 단순히 추측(?)으로 Korea를 집어넣은 것인지, 국내연구진이 정확히 동정을 못 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개선방안 국가기관에 국가기관으로써 질의 및 건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미국 USDA에 한국 산림청에서 한국에 귀화한 식물들의 목록을 제공하여 업데이트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훗날 다른 국내 혹은 국외 연구진들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Hordeum roshevitzii의 경우, 어떤 근거로 한국이 자생지에 포함되었는지 질의하여, 국내에는 자생하지 않는데 추측으로 넣은 것인지, 혹은 이북지역 등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는지, 국내에서 다른 종과 같이 생각하고 있는지 등을 정확히 하여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대효과 외국의 정보가 오류인지 국내의 정보가 오류인지 등을 확인하는 양국간의 정보교류를 통해 보다 더 정확한 정보 제공으로 양국 더 나아가 전 세계 학문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외국연구진에 의해 보고가 되었는데, 국내연구진 혹은 국가기관에서 놓친 것인지, 혹은 외국기관에서 국내를 제대로 모르면서 추측성으로 집어넣은 것인지 정확히 해야 할 것 같다. 그래야 다음 후학들이 그것을 이어서 연구를 하든지 연구를 하지말든지 할 수 있을 것 같다.


핑백

  • 옹잉의 이글루 : 해외 보리속(Hordeum) 식물들에 이름 붙여보기 2018-06-09 19:16:42 #

    ... 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가까워서 우리나라에서 잘 살 것 같은 종들을 꼽았다. 1. Hordeum roshevitzii전에도 한번 포스팅(http://ongchip.egloos.com/6335939)했던 식물이지만 아직 나도 본 적이 없다. 중국동부에 사는 것은 맞는 것 같은데, 우리나라나 일본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지만, 환경이 ... more

덧글

댓글 입력 영역


구글 애드센스 반응형